티스토리 뷰
ICMP
- 호스트간 제어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
- IP프로토콜은 전달을 보장하진 않는다. 그래서 전송상의 오류 등을 보고하기 위해 ping 같은 프로토콜에서는 ICMP를 사용한다.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 hash : 전송할 때 # 문자를 진행도에 따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FTP 명령어
- get : 기본 FTP 클라이언트를 통해 파일을 다운받기 위한 명령어(업로드 : put)
- anonymous FTP :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에는 자신의 전자우편 주소를 입력한다.
(Archie : 인터넷 초창기 활발히 사용되던 서비스, 자신이 원하는 파일이나 문서가 어느 anonymous FTP서버에서 제공되는지를 찾아주는 프로그램)
NFS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NIC
- 네트워크 정보센터, 인터넷/IP, 도메인 관리
IMAP
- 전자우편을 수신하고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NetBIOS
- 응용프로그램들이 LAN 상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SSL
- 네트워크 내에서 메시지 전송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 넷스케이프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램 계층
nslookup
- 도메인 네임 서비스에 관련된 설정을 출력한다.
- DNS 네임 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확인한다.
route, ifconfig
- TCP/IP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명령어
ping
- 원격의 호스트의 연결을 확인하는 명령어
traceroute
- 특정 호스트까지 연결된 노드를 알아보는 명령어
라우팅 테이블
- 라우터나 기타 다른 인터네트워킹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네트워크 상의 특정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TELNET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기본형식
- telnet hostname | ip_address port
- Telnet을 이용하여 idh 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한다면 open 명령어를 사용한다.
루프백 인터페이스에 부여되는 IP 주소
- 127.0.0.1
- 루프백 인터페이스는 자신에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별한 인터페이스이다.
- 편의상 '127.0.0.1'의 IP주소가 루프백용으로 할당되어 왔다.
- 리눅스에서 지원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ifconfig로 설정 및 확인가능하다.
IP주소의 유형에 속하는 것
- 유니캐스트(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사이의 데이터 전송방식)
- 멀티캐스트(그룹에 속한 사용자 모두 전송)
- 브로드캐스트(같은 도메인에 속한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
POP3
- 이메일을 받을 때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프로토콜이다.
- 서버에 저장된 메일을 사용자 컴퓨터의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전달해주는 역할
- 메일을 보내는데 사용되는 서비스는 SMTP이다.
모질라 웹브라우저 메뉴바의 파일 항목
- 인쇄, 페이지 설정, 오프라인 작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활성화, 비활성화, 네트워크 설정
/etc/protocol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프로토콜 번호가 정의되어 있다.
/etc/services
- 리눅스에서 기본적인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잘 알려진 포트번호 확인
/etc/resolv.conf
- 기본 DNS 서버를 변경하고자 할 때 수정할 파일
/etc/sysconfig/network
-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에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
UUCP
- dial-up 전화 링크에 기반한 광역 네트워크에 응용된다.
- 시리얼 라인을 통하여 파일을 교환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 유닉스 개발사이트와 교신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시리얼 라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의 전송이 어렵다.
SLIP
- TCP/IP 네트워크에 다이얼업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다.
HTTP
- www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
- Command, Header, Body로 구성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 쿠키를 사용하여 세션 정보를 유지한다.
- 하나의 명령마다 독립적으로 연결이 허용된다.
서비스 이름과 포트 번호
- ftp(21/20)
- telnet(23)
- http(80)
- https(443)
- gopher(70)
- smtp(25)
- pop2(109)
- pop3(110)
- snmp(161)
- ipx(213)
- ssh(22)
- rlogin(513)
- nntp(119)
- name server(42)
- tftp(69)
- wins(1512)
- mysql(1433/1434)
- daytime(13)
- swat(901)
IRC
- 채팅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라우팅의 종류
- Dynamic 라우팅, Default 라우팅, Static 라우팅
finger
- 접속한 PC 뿐만 아니라 원격의 PC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해당 서버에 요청하여 수집할 수 있는 프로토콜
삼바
- MS에서 개발한 smb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한다.
- 윈도우즈 계열 운영체제 뿐 아니라 삼바가 설치되어 있는 유닉스 계열 OS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 리눅스 시스템 내의 파일을 윈도우즈 계열 운영체제의 탐색기에서 편집 및 수정할 수 있다.
리눅스를 활용한 고속인터넷 접속 방식
- 케이블 TV망
데이터가 오고가는 통로로 전화선 대신 케이블 TV망을 이용하고 다이얼업 모뎀의 역할은 케이블 모뎀이 담당한다.
Cell 내의 접속자가 증가하면 최대 전송속도가 감소한다.
-ADSL
DSL전용 모뎀으로 인터넷에 연결된다, 업로드 속도와 다운로드 속도가 다른 디지털 회선이다.
프록시서버
- 인터넷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게이트웨이나 방화벽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이다.
DHCP
-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설정사항들을 자동 설정한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압축 관련 명령어 (0) | 2017.02.05 |
---|---|
TCP/IP 와 OSI 7계층 (0) | 2017.01.08 |
리눅스 활용 (0) | 2017.01.07 |
프로세스 관리 (0) | 2016.12.11 |
쉘(Shell) (0) | 2016.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