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 마스터 2급

쉘(Shell)

llilliiillliill 2016. 12. 11. 19:02

쉘의 종류

본쉘 : 유닉스 시스템 최초의 쉘. 프로그래밍 언어의 용도로 개발되었다.

          본쉘 계열의 쉘로는 ksh, bash, zsh 등이 있다.


Bash Shell :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쉘로 POSIX와 호환된다.

                   GNU에 의해 개발/배포 되었으며 sh를 기본으로 ksh와 csh 계열의 장점이 결합된 표준 쉘이다.


csh : C언어와 유사하여 유닉스에서 많이 사용된다. 본쉘과 대부분 호환되지만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C쉘은 C언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한 대화형 쉘이다.


Tcsh : 확장 C쉘로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ksh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본쉘과 호환되면서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본쉘 환경변수

본쉘은 산술계산, 조건식, 제어구조, 내장 명령어들을 가진 프로그램 작성을 가능하게 하는 쉔인 동시에 모든 쉘의 기본이 된다.

- 내장 쉘 변수는 4가지 변수 중의 하나이다.

- 특수 파라미터는 4가지 변수 중의 하나이다.

- 사용자 정의 변수는 4가지 변수 중의 하나이다.


HOME=/home/login : 사용자가 시작하는 위치인 홈 디렉터리 설정

LOGNAME=login : LOGNAME은 자동으로 로그인 ID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PATH=path : path 옵션은 셀이 명령에 대해 찾는 디렉터리 목록을 표현한다.

PS1=prompt : PS1은 프롬프트의 모습을 정의하는 1차 쉘 프롬프트 이다.

PWD=directory : 자동으로 설정된 것으로 사용자의 현재위치(디렉터리 경로)를 나타내주는 역할을 한다.

SHELL=shell : SHELL은 사용자 쉘로서 가능한 프로그램의 위치를 식별한다.

TERM=temtype : 터미널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지정되는 대로 터미널 유형의 이름을 설정한다.


특수 환경변수

HOME : 사용자가 시작하는 위치인 홈 디렉터리를 설정한다.

             홈 디렉터리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명령이 여전히 작동된다.

             홈 디렉터리의 파일을 지정하는 쉘 스크립트를 작성 중일때 HOME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SHELL : 현재 쉘의 이름을 나타낸다.

MAIL : 지정된 메일의 전체경로명을 나타낸다.

LOGNAME : 로그인된 이름을 나타낸다.

PATH : 쉘이 명령을 탐색하는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디렉터리가 나열되는 순서로 탐색한다.

            순서대로 디렉터리를 탐색하다 명령을 찾으면 탐색을 중단한다.

TZ : date 명령에 대한 시간대를 나타낸다.

SECONDS : 쉘을 호출한 이후의 시간을 나타내며 단위는 시간(초) 이다.

PS1 : 시스템 프롬프트

TERM : 사용중인 터미널의 유형을 나타낸다.

HISFILE : 사용가 실행했던 명령어의 목록을 저장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HOSTNAME : 호스트 이름을 나타낸다.


리다이렉션

명령의 결과, 출력(입력)을 다른 명령의 입력(출력)값으로 사용한다.

ex) cat a>b

      cat b

 => 파일 a의 내용이 출력된다.


리눅스 쉘의 환경파일

.login : 특정 쉘에 관계없는 초기 환경을 지정하여 로그인할 때 지정한 명령을 자동수행한다.

.logout : 시스템 접속을 종료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수행될 내용을 지정하는 파일이다.

.newsrc : Usenet News Group 이용 시 그룹 환경 저장 파일이다.

.eml : 전자우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디렉터리이다.


기타 명령어

w : 시스템 사용자들의 작업내용을 출력한다.

talk : 다른 사람에게 간단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traceroute : 다른 시스템에 접속되는 경로를 조회힌다.

who : 시스템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들어온 장소, 시간 등을 출력한다.

rm : 삭제 명령어

.cshrc : C 쉘 이용자의 경우 로그인 환경설정 시 필요한 파일이다.

파이프 : |로 쓰이며 여러 명령을 조합해서 사용할 때 이용한다.

! : Bash 쉘의 히스토리 기능을 이용하여 바로 이전 명령의 매개변수를 재 입력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쉘 예약어이다.

stty : 스크립트에서 터미널 동작이나 출력하는 방법을 제어하고 터미널 세팅을 보여주거나 변경해준다. 

'리눅스 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활용  (0) 2017.01.07
프로세스 관리  (0) 2016.12.11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2/2)  (0) 2016.11.26
파일시스템 관련 명령어(1/2)  (0) 2016.11.19
리눅스 일반  (0) 2016.11.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