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TCP/IP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1960년에 미국방성(DARPA)에서 연구 시작으로 1980년 프로토콜 모델 공개가 되었다.
개방형 프로토콜로 H/W, OS에 독립적으로 사용되며, 근/원거리의 서로 다른 컴퓨터를 이어준다.
[역할]
- 데이터 흐름관리
- 데이터 정확성 확인(TCP) = 패킷들의 전송흐름 제어
-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IP) = Datagram의 분열과 재배열의 역할
[OSI 계층 측면]
- 응용 : 메시지 변환
- 트랜스포트 : TCP/UDP > 패킷 재검사 및 전송
- 인터넷층 : 효율적으로 목적지까지 보냄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물리적 표면 위로 올림
[LAN 토폴로지]
- 망형
각 컴퓨터가 임의의 다른 사용자들과 직접 상호연결되어 있다.
시스템 구축 비용이 많이 들고, 백본 망 구성에 사용된다.
TCP/IP의 내부 스택-프로토콜
계층도 |
기 능 |
장 비 |
프 로 토 콜 |
Application |
응용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 |
게이트웨이 |
FTP, Telnet, SMTP, DNS, TFTP, SNMP, RIP |
Presentation |
구조를 가진 데이터의 입력, 표시제어 |
|
|
Session |
논리 접속의 설정, 결합, 해방 |
|
|
Transport |
엔드 시스템간의 확실한 데이터 전송 관리 |
|
TCP, UDP, SPX |
Network |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송, 에러 제어 |
라우터 |
IP, IPX, IGMP, ICMP, ARP, RARP |
Data Link |
인접 노드의 데이터 전송, 에러 제어 |
스위치, 브리지 |
|
Physical |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의 제어 비트 레벨의 물리 전송 |
케이블, 허브, 리피터 |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데이터그램과 함께 에러, 제어 메시지 전송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 MAC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MAC -> IP
계층모델의 응용프로그램 계층
- Telnet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로그인을 제공한다.
- FTP
양방향 파일전송 프로토콜.
- HTTP
웹페이지 전송, www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 Command, Header, Body로 구성된 데이터를 주고 받고 쿠키를 이용하여 세션을 유지한다.
HTT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는 POST방식과 GET방식이 있다.
- SMTP
전자메일전달 프로토콜.
- DNS
IP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할당된 이름과 대응시켜준다.
문자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로 변환한다.
리눅스에서는 버클리인터넷도메인(BIND)등이 사용된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NS설정을 반드시 해야한다.
- NFS
네트워크상의 다양한 호스트들이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IP 주소
IP 주소는 TCP/IP 네트워크 상의 통신에서 각 호스트를 유일하게 인식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이렇게 인식된 호스트상의 응용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포트넘버이다.
소켓 : IP주소와 포트넘버의 조합으로 전체인터넷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단일하게 표현
[A class]
- 1~126 . 0~255 . 0~255 . 0~255
- subnet mask : 255.0.0.0
[B class]
- 128~191 . 0~255 . 0~255 . 0~255
- subnet mask : 255.255.0.0
[C class]
- 192~223 . 0~255 . 0~255 . 0~255
- subnet mask : 255.255.255.0
[D class]
- 224~239 . 0~255 . 0~255 . 0~255
[E class]
- 240~255 . 0~255 . 0~255 . 0~255
클래스별 사설 IP 대역
[A class] : 10 . x . x . x
[B class] : 172 . 16 . 0 . 0 ~ 172 . 31 . 255 . 255
[C class] : 192 . 168 . x . x
- ICANN : IP주소와 도메인을 관리하는 국제기구
- ORG : 비영리 목적의 기관. 최상위 도메인이다.
OSI 7계층
1 |
물리 계층 |
개별 비트들을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전달 |
허브, 리피터 |
없음 |
2 |
데이터링크 계층 |
프레임을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전달 |
브릿지, 스위치 |
MAC, PPP, FDDI, 토큰링, Ethernet |
3 |
네트워크 계층 |
패킷을 발신지에서 최종 목적지로 전달 |
라우터 |
IP, ICMP, ARP |
4 |
전송 계층 |
메시지를 한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전달 |
게이트웨이 |
TCP, UDP |
5 |
세션 계층 |
대화 제어/동기화 |
|
|
6 |
표현 계층 |
변환/압축/암호화 |
|
|
7 |
응용 계층 |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
|
HTTP, FTP, SMTP, DNS, NFS |
'리눅스 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압축 관련 명령어 (0) | 2017.02.05 |
---|---|
네트워크 관련 용어 설명 (0) | 2017.01.14 |
리눅스 활용 (0) | 2017.01.07 |
프로세스 관리 (0) | 2016.12.11 |
쉘(Shell) (0) | 2016.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