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장치 조작 명령어 restore : 백업된 파일시스템을 복구 scanpci : PCI 버스를 스캐닝하여 관련정보 출력 umount : 파일시스템 언마운트 umask : 파일 생성 시 소유자나 그룹의 퍼미션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 일반 파일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접근 권한은 666 / 디렉터리는 777 ex) umask = 022 일 때 일반 파일 생성하면 권한은 644* 리눅스 기본 umask 값은 022 또는 002 파일 조작 명령어 diff : 파일 사이의 다른 점을 찾아내는 명령어 more : 주어진 파일의 내용을 화면 단위로 출력 head : 파일의 머리 부분을 보는데 사용 tail : 파일의 꼬리 부분을 보는데 사용 file : 파일 종류 확인 (more, page, less) grep ..
명령어[옵션] 파일 *파일의 접근 권한 변경 chmod [옵션] [모드] [파일] chmod [옵션] [8진수 모드] [파일] chmod 명령어 옵션 명령기호 설명 u user g group o other a all + 추가 - 삭제 r 읽기 w 쓰기 x 실행 umask : 새로운 파일 생성시에 파일 접근 권한을 조정하는 프로그램 1000 : sticky bit 적용 2000 : 파일에 SetGID bit 적용 4000 : 파일에 SetUID bit 적용 *파일의 소유자 변경 chown [옵션] [사용자계정] [파일] chown [옵션] [UID:GID] [디렉터리/파일명] chown 명령어 옵션옵션 설명 -R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권한 변경 -c 권한변경 파일 내용 출력 *보통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 ..
1.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1. 리눅스의 탄생윈도우, 유닉스, IOS와 같은 운영체제의 한 종류로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1989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에 재학 중이던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유닉스(Unix)를 기반으로 개발한 공개용(Open Source) 운영체제 1.2. 리눅스 특징1) 다중 사용자(Multi User)2) 다중 작업(Multi Tasking)3) 다중 처리기(Multi Processor)4) 다중 플랫폼(Multi Platform)5) 계층형 파일 시스템(File System)6) POSIX와 호환 - POSIX :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 한 것7) 우수한 네트워킹(Networking)8) 가상콘솔(..
리눅스의 특징 ①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처리 시스템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고(Multi-User), 각 접속자들은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Multitasking)② 완전히 공개된 시스템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Kernel) 뿐만 아니라, 같이 내장되어 배포되는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이 소스가 공개된 프로그램이다.③ 뛰어난 네트워크 환경 가장 널리 쓰이는 이더넷(Ethernet), SLIP, PPP, ATM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여 TCP/IP, IPX, AppleTalk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지원한다.④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 DOS의 FAT, Windows의 FAT32 및 NTFS, CD-ROM에 사용되는 ISO 966..
운영체제의 개요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와 컴퓨터 사용자 간의 매개체 역할 : 다리 역할을 하는 커널(Kernel) 의미 : 커널, 미들웨어(Middle Ware), 응용프로그램 실행환경 운영체제의 이해 운영체제의 주요 역할 ①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어한다.② 작업의 순서를 정하며, 입출력 연산을 제어한다.③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며,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한다.④ 사용자들 간의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⑤ 시스템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⑥ 입출력을 쉽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⑦ 응용 프로그램의 작성과 실행을 편리하게 한다.⑧ 오류의 발생을 막고 복구를 지원한다.⑨ 데이터의 조직화, 네트워크 통신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